본문 바로가기
누구나 재테크 할 수 있다

성장주·가치주 정의 및 차이점, 대표 인물, 금융 상품

by babibo9324 2025. 4. 20.

증권회사의 소(상승) 와 곰 (하락)을 의미하는 이미지
시세 상승을 의미하는 소 / 시세 하락을 기원하는 곰

 

 

주식 투자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용어 중 하나가 ‘성장주’와 ‘가치주’입니다. 두 용어는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는 기준이 되며 실제로 워런 버핏, 캐시 우드 등 유명한 투자자들도 이를 기준으로 전략을 세워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장주와 가치주의 개념과 차이점은 물론 이를 대표하는 투자자와 그들이 추구하는 철학 그리고 실제 투자 가능한 금융상품까지 정리합니다.

 

성장주 및 가치주 - 정의 및 차이점

1. 성장주

성장주는 향후 매출과 이익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현재 수익성이 낮거나 PER(주가수익비율)이 높더라도,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투자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는 주식입니다. 성장주는 보통 신기술, 혁신 산업, 미래 산업 분야에 속한 기업들로 구성되며, 단기간에 급격한 주가 상승이 가능하지만 그만큼 변동성과 리스크도 높은 편입니다. 대표적인 성장 산업 분야로는 인공지능(AI), 전기차/배터리, 클라우드 컴퓨팅, 바이오 헬스케어, 반도체 설계 등이 있습니다.

 

2. 가치주 - 정의

가치주는 기업의 내재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 주식을 뜻합니다. 현재 수익성이 높고 재무구조가 안정적인데 시장에서 주목받지 못해 주가가 낮은 기업들을 말합니다. 가치주는 일반적으로 배당이 안정적이고, 실적이 꾸준하며, 변동성이 낮은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 불황기나 하락장에서도 방어력이 강한 편이며, 장기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투자 대상입니다.

대표적인 가치주 특징으로는 저 PER, 저 PBR, 꾸준한 이익 실현, 고배당 정책, 시장 점유율이 높고 업력이 긴 기업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 PER :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ER이 높다면 수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낮다면 기업이 벌어들이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시장에서 그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 PBR : 기업의 재무상태 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PBR이 1 미만이라면 장부가치보다 주가가 낮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단순이 낮다고 투자해서는 안됩니다. PBR은 부채를 반영하지 않아 기업의 자산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3. 성장주와 가치주의 차이점

구분 성장주 가치주
투자 초점 미래 성장 가능성 현재 실적과 내재가치
주가 수준 상대적으로 고평가 (PER/PBR 높음) 저평가 상태 (PER/PBR 낮음)
리스크 높음 (변동성 큼) 낮음 (안정적)
대표 업종 IT, 바이오, 첨단 기술 금융, 제조, 통신 등 전통산업
투자 기간 중·단기 지향 장기 지향
수익 원천 주가 상승 (자본 차익) 배당 + 시세 차익

 

 

대표하는 인물 소개 /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 

1. 성장주와 가치주를 대표하는 인물 소개

① 성장주 대표하는 인물 – 캐시 우드

캐시 우드는 ARK Investment Management의 CEO로, 성장주 투자 전략의 대표 인물입니다. 그녀는 테슬라, 줌, 로쿠, 크리스퍼 등 기술 기반 혁신 기업에 집중 투자하며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ARK Innovation ETF(ARKK)는 그녀의 전략이 반영된 대표적인 성장주 중심 ETF로 미래 산업을 이끄는 기업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접근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② 가치주 대표하는 인물 – 워런 버핏

워런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으로 가치 투자 전략의 대명사입니다. 그는 항상 기업의 내재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을 발굴하여 장기적으로 보유하며 큰 수익을 실현했습니다.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애플 등 장기적인 브랜드 가치와 현금 흐름을 갖춘 기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복리의 힘을 강조해 왔습니다.

 

2. 투자 성향에 따라 성장주 VS 가치주 선택

투자자 성향은 크게 공격형, 중립형, 안정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성향에 따라 선택해야 할 주식 유형도 달라집니다. 자신의 투자 성격과 목적, 감당할 수 있는 리스크 수준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성공적인 자산 배분의 첫걸음입니다.

 - 공격형 투자자는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에게는 성장주가 적합합니다.

 - 중립형 투자자는 수익과 안정성을 모두 추구하는 경우 성장주와 가치주를 혼합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적절합니다.

 - 안정형 투자자는 자산 보전과 꾸준한 수익을 중시하는 경우 가치주가 더 적합합니다.

 

성장주·가치주 관련 금융상품과 투자 방법

1. 성장주 중심 금융상품

성장주는 경기가 하락하였다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때 가장 먼저 상승하는 주식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주가하락 시에는 변동성이 높아 원금 손실이 크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 ARK Innovation ETF (ARKK) – 테슬라, 로쿠, 크리스퍼 등 미래 산업 종목이 있습니다.

  - TIGER 2차 전지테마 ETF – 국내 배터리 관련 기업 중심 ETF입니다.

  - KODEX 미국나스닥 100 ETF –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대표 ETF입니다.

 

2. 가치주 중심 금융상품

가치주는 경기 불확실성이 있거나 금리 상승기, 인플레이션 발생 환경에서 방어적인 투자를 하기에 유리합니다.

  - TIGER 가치주 ETF – 저평가된 기업 중심 구성입니다.

  - KOSEF 고배당 ETF – 안정적인 배당 수익 기대합니다.

  - 버크셔 해서웨이 A/B 주식 – 가치주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입니다.

 

성장주와 가치주는 투자 철학과 전략의 방향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빠른 수익과 기술 중심의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성장주 중심 투자 전략이 적합하고, 안정성과 장기 수익을 바란다면 가치주 중심 투자가 적절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자신의 성향, 목표, 리스크 감수 능력에 따라 성장주와 가치주를 혼합 포트폴리오로 구성하거나 특정 전략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투자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워런 버핏과 캐시 우드처럼 서로 다른 전략이지만 모두 성공을 거두었듯이 중요한 건 위와 같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나만의 투자 스타일을 만들고 설정한 목표에 맞춰 전략을 일관되게 실천한다면 성공적인 투자가 가능할 것입니다.